[부동산]미분양 아파트 조회방법 및 현황(Feat. 부동산지인, 시도청 홈페이지)
오늘은 지역 내 미분양 아파트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미분양은 상당히 중요한 지표인데요.
그 지역의 리스크를 확인하기 위해서 미분양, 입주물량, 청약경쟁률을 확인합니다.
이 중에서 미분양과 청약경쟁률을 통해서 새 아파트를 사고 싶어하는 수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지역별 미분양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동산지인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지인 사이트에 들어가서 지인빅데이터에 커서를 올립니다.

지인빅데이터에 커서를 올리면 미분양 탭이 나옵니다.

그 다음, 지역(구 단위까지)을 선택하고 - 검색하면 됩니다.
저는 '대구광역시 중구'를 검색해보겠습니다.

이렇게 그래프로 2010년부터 미분양 현황이 나옵니다.

그래프에 마우스를 올리면 특정 기간에 얼마나 미분양이 발생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래로 내리면 월별 미분양 수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 표를 통해 최근 미분양이 감소했는지, 증가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그 아래에는
미분양 아파트 상세 검색을 통해
미분양 났던 아파트명을 알 수 있는데요,
전체 분양수와 미분양 수는 알 수 없습니다.

미분양이 많이 쌓였던 시점에
어떤 아파트에, 얼마나 쌓였는지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해당 지역의 시청, 도청 홈페이지를 들어갑니다.
방금 대구를 봤으니 "대구광역시청" 을 검색해보겠습니다.
(어떤 지역이든 방법은 같습니다.)

이렇게 홈페이지가 나오면 보통 메인 화면에 검색창이 있습니다.

검색창에 "미분양"이라고 검색합니다.

그렇게 검색한 결과를 보시면
매달 기준으로 "0000년 00월 00시 공동주택 미분양 현황" 이란 글이 보입니다.
매달 도, 시에서 미분양 현황을 올려줍니다.
시청 홈페이지에 해당 자료가 없으면 도청 홈페이지에서 같은 방법으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해당 글을 클릭하면

보통 엑셀파일로 첨부해서 올려줍니다.
그걸 열어봅니다.

엑셀파일에 2가지 시트가 있는데요,
'업제별현황' 시트를 보면됩니다.

여기에서 동, 주소, 총분양가구수, 당해월 미분양가구수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보통 아파트명이 적혀 있는 경우도 있고, 주소만 나와 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주소만 나와 있는 경우에는 '구글'에 주소를 검색하면 아파트명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하시면 최근 미분양 현황을 알 수 있는데요,
과거 특정 시점(미분양이 많이 쌓인 시점)에
어떤 아파트에 미분양이 났는지 확인하려면
기존 자료를 찾았던 글에서 '목록'을 클릭합니다.

그 목록에서 미분양을 다시 검색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일자의 미분양 현황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미분양을 확인하고 정리하시면 됩니다.
이상 미분양 조회방법 및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 되셨다면 공감, 댓글, 이웃추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